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3

문화와 철학(10) 2장 대중 음악과 소비 사회의 욕망 02. 소비 사회와 록 음악(2-2. 록 음악과 욕망) 보드리야르의 눈으로 대중 음악 또는 록 음악을 보면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까? 록 음악은 젊은 세대, 특히 10대의 음악의 기호다. 1956년 엘비스 프레슬리가 을 발표할 무렵 미국 학교에는 열심히 공부해야 출세할 수 있다는 엘리트주의가 널리 퍼져 있었다. 10대 학생은 억압과 폐소 공포증을 자아내는 이런 분위기를 견딜 수 없었고, 때마침 나타난 분출구가 로큰론(Rock'n'roll)이었다. 로큰롤은 '흔들고 돌린다'는 뜻이며 성교의 완곡한 흑인식 표현이다. 학생들은 허리 아래로 교모하게 흔드는 엘비스를 보고 열광했다. 또 노동자 출신 엘비스는 기성 사회의 가치관에 순응하지 않고서도 얼마든지 출세할 수 있다는 생각.. 2023. 9. 20.
문화와 철학(9) 2장 대중 음악과 소비 사회의 욕망 02. 소비 사회와 록 음악(2-1. 대중 문화와 소비 사회) 대중 문화를 깊이 이해하려면 대중 문화 속에 숨어 있는 대중 욕망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대중 매체나 문화 산업의 관점에서 대중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대중 문화가 대중의 삶의 조건을 반영한다고 보는 면에서는 옳다. 그러나 대중 문화가 반영하고 있는 삶의 근본 조건은 대중의 욕망 구조이므로 이 구조를 해명하지 않고서는 대중 문화의 의의를 충분히 드러낼 수 없다. 대중 문화 속에 숨어 있는 대중의 욕망 구조는 무엇일까? 대중 문화를 통해 충족하는 욕망은 배고픔이나 목마름처럼 자연적 욕망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생산한 욕망이다. 따라서 대중의 욕망 구조에 접근하려면 현대 사회에서 욕망의 생산과 소비 매커니즘을 살펴볼.. 2023. 9. 20.
문화와 철학(8) 2장 대중 음악과 소비 사회의 욕망 01. 대중 음악, 에데올로기, 상품미(1-2. 상품미와 개인) 요즘 사람은 갓난아기로 태어나자마자 상품의 소나기를 맞기 시작한다. 온갖 상표를 붙인 의식주 상품이 아기의 탄생을 기다리고 있다. 거대한 수퍼마켓이 된 현대 사회에서 사람의 취미를 형성하는 것은 예술미가 아니라 상품미이다. 상품미는 우리 마음 깊은 곳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체험을 불러일으키는 예술미와 달리 상품을 매력 있게 만들어 판매를 촉진하는 긴요한 수단이다. 상품미는 상품의 내용과 형식을 분리하는 데서 성립한다. 상품의 형식인 겉모습과 포장은 상품의 내용인 사용 가치를 충실히 보장해야 하지만, 시장에서 생존하고 이윤을 늘리려면 최소한의 내용으로 최대한의 사용 가치를 보장한다는 미적 가상을 불러일으켜야 .. 2023. 9. 19.
문화와 철학(7) 2장 대중 음악과 소비 사회의 욕망 현대 사회에서 사람의 취미를 형성하는 것은 예술미가 아니라 상품미이다. 상품미는 우리 마음 깊은 곳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체험을 불러일으키는 예술미와 달리 상품을 매력 있게 만들어 판매를 촉진하는 수단이다. 대중 음악 중 특히 록 음악은 기성 질서에 저항하는 측면이 있지만, 대중 문화를 통한 저항이 자본의 틀 안에서 놀 수 밖에 없다면 어느새 상품으로 둔갑해 자본의 이윤 추구에 봉사하는 도구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보드리야르에 따르면 현대 사회는 소비가 있어야 생산도 이루어지는 소비 사회이고 사람들은 상품의 사용 가치가 아니라 기호 가치를 소비한다. 기호 가치는 지위와 심리의 차이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소비 사회에서 사람들이 채우려는 욕망도 자기를 남과 구별하는 차이에.. 2023. 9. 19.
문화와 철학(6) 1장 문화 산업과 영화 03. 영화를 이해하는 두 가지 시선(3-2. 벤야민의 영화 이해) 독일 철학자 벤야민(W. Benjamin)은 영화가 지각을 확장한다고 높이 평가한다. 영화의 카메라는 배우의 얼굴을 가까이 포착하는 클로즈업을 통해 피부의 땀구멍까지 보여 줄 수 있고 사람이 걷는 모습을 느리게 포착하는 고속 촬영을 통해 한순간의 걷는 자세도 보여 줄 수 있다. 피부의 땀구멍이나 한순간의 걷는 자세는 맨눈으로 보기 힘들다. 영화는 카메라를 통해 맨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게 한다는 뜻에서 우리의 시각을 비롯한 지각을 확장한다. 벤야민에 따르면 영화는 예술과 과학의 결합이기도 하다. 영화가 보여 주는 한순간의 걷는 자세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무의식의 영역에 속한다. 무의식은 좁은 뜻에서는 성.. 2023. 9. 18.
문화와 철학(5) 1장 문화 산업과 영화 03. 영화를 이해하는 두 가지 시선(3-1.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영화 이해) 독일 철학자 호르크하이머(M. Horkheiner)와 아도르노(Th. Adorno)는 문화 산업은 이윤을 추구하는 비즈니스일 뿐이고 영화가 대중의 사고력을 마비한다고 비판한다. 그들에 따르면 ㅁ낳은 영화가 독특한 아이디어를 내세우며 다른 영화와 차이를 강조하지만 영화들 사이의 차이는 관객을 나누어 장악하기 위한 차이일 뿐이다. 대중에게는 각계각층을 위해 다양한 영화가 제공되지만 어느 누구도 이 영화들에서 빠져나가지 못한다. 모든 사람은 이 영화들 중에서 자기에게 맞게 보고 싶은 영화를스스로 고를 뿐이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영화가 현실의 연장이라고 본다. 영화는 일상적인 감수성의 세계를 재현하.. 2023.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