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이해하기

문화와 철학(9)

by Be_ni 2023. 9. 20.

2장 대중 음악과 소비 사회의 욕망

02. 소비 사회와 록 음악(2-1. 대중 문화와 소비 사회)

대중 문화를 깊이 이해하려면 대중 문화 속에 숨어 있는 대중 욕망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대중 매체나 문화 산업의 관점에서 대중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대중 문화가 대중의 삶의 조건을 반영한다고 보는 면에서는 옳다. 그러나 대중 문화가 반영하고 있는 삶의 근본 조건은 대중의 욕망 구조이므로 이 구조를 해명하지 않고서는 대중 문화의 의의를 충분히 드러낼 수 없다.

소비 사회, 욕망 실현

대중 문화 속에 숨어 있는 대중의 욕망 구조는 무엇일까? 대중 문화를 통해 충족하는 욕망은 배고픔이나 목마름처럼 자연적 욕망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생산한 욕망이다. 따라서 대중의 욕망 구조에 접근하려면 현대 사회에서 욕망의 생산과 소비 매커니즘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대 사회를 규정하는 용어는 많다. 창의적 지식이 사회의 발전 동력이라는 뜻에서 지식 사회라는 용어도 있고, 정보 기술과 산업이 사회 발전을 주도한다는 뜻에서 정보 사회라는 용어도 있다. 대중의 욕망 구조와 관련해 주목할 용어는 소비 사회다. 프랑스 철학자 보드리야르(J. Baudrillard)에 따르면 현대 사회는 과거에 비해 재화의 생산보다 소비가 경제를 추진하는 주요 동력이라는 뜻에서 소비 사회이다. 선진국의 경제는 서비스업이 대표하는 3차 산업이 주도하고 농경, 공업 등 1, 2차 산업은 후진국의 상징이 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도 과거에는 근검 절약이 미덕이었지만 이제 어느 정도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산도 불가능하다.

 

소비 사회에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아니라 사물들 또는 기호들에 둘러 싸여 있다. 우리의 삶은 많은 상품과 광고와 휴대폰과 컴퓨터 속에서 이루어진다. 우리는 매일 많은 사람과 만나고 그중 어떤 사람과는 친구가 되지만 대부분의 사람과는 친구가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사람은 나에게 별로 의미가 없는 사물들 또는 기호들이다.

 

소비 사회에서 사람들은 상품의 사용 가치가 아니라 기호 가치를 소비한다. 사용 가치는 필요를 충족하는 수단이지만 기호 가치는 지위나 심리의 차이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5만 원짜리 농구화든 50만 원짜리 농구화든 발을 안전하게 보호할 필요를 채워 준다는 사용 가치 면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 50만 원짜리 농구화가 5만 원짜리 농구화보다 발을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지만 10배나 더 안전하게 보호한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많은 청소년이 굳이 50만 원짜리 농구화를 원하는 끄닭은 이 농구화가 또래 집단에 들어갈 수 있고 다른 집단과 지위와 심리츼 차이를 표시하는 기호로서 그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 사회에서 기호의 논리는 다른 기호와의 차이다. 예를 들어 핸드백의 논리는 지갑이나 화장품을 넣어 들고 다니는 작은 가방이 아니라 값비싼 명품이냐 싸구려 시장 상품이냐 또는 진짜 명품이냐 모조품이냐 하는 차이다.

 

소비 사회에서 욕망의 논리도 차이의 논리다. 소비 사회에서 욕망은 특정 사물에 대한 욕망이 아니라 차이에 대한 욕망이다. 소비 사회에서 사람들은 사물을 사용 가치로서 소비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자기가 이상으로 생각하는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나타내기  위해서든 다른 집단과 자기 집단을 구별하기 위해서든 자기를 남과 구별하는 기호로서 사물을 소비한다. 소비 사회에서 우리는 온갖 기호들의 보호를 받으며 살고 있다.

 

그러나 보드리야르에 따르면 기호들의 보호를 받는 우리의 삶은 소외된 삶이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온갖 기호는 우리가 현실 세계에 참여해 살고 있다는 것을 보증해 주는 알리바이라고 볼 수 있다. 알리바이가 없으면 처벌을 면할 수 없듯이 기호들이 없으면 험한 세상의 고문을 견딜 수 없다.

 

알리바이는 실상이나 진실과 다른 경우가 많다. 기호는 다른 기호와 차이를 드러내면 그만이고 내용은 아무래도 상관없다. 그러나 아무리 비싼 운동화를 신고 다니고 아무리 비싼 가방을 들고 다녀도 냉정하고 살벌한 세상살이 경쟁은 끝이 없고 벗어나기 어렵다. 기호 가치를 소비하는 사회에서 대중 문화는 지위와 심리의 차이에 대한 대중의 욕망을 채워 준다. 그러나 대중 문화가 기호로 이런 욕망을 채워주고 기호가 실상이 아니라 알리바이일 뿐이라면 대중의 욕망 충족은 고된 삶을 잠시 잊고 은폐하는 마취제일 수도 있다.

'철학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와 철학(11)  (0) 2023.09.21
문화와 철학(10)  (0) 2023.09.20
문화와 철학(8)  (1) 2023.09.19
문화와 철학(7)  (0) 2023.09.19
문화와 철학(6)  (0) 2023.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