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서고전111

제 2장 중국사상의 흐름과 고전(4) 북송중기-아편전쟁: 성리학의 전개 성리학 성리학은 원시유교나 한 당 시대의 훈고학과는 다른 유학으로 송학宋學 · 주자학이라고도 한다. 성리학은 이론의 학문, 즉 철학이지만 경학의 면도 갖추고 있어, 경전을 깊이 고찰·연구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불교의 이론이나 노장 · 도교의 설까지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종래의 유가사상에 결여되었던 고도의 철학이론을 수립, 그 이론에 의하여 경전을 새로이 해석했 다. 그들이 구축한 이 독자적 철학이론 체계에서 신유학의 큰 특 색이 있는데, 그 학문의 본질은 이론체계 수립 자체에 있었던 것 이 아니라, 이론을 생활의 기준으로 삼아 자기인격 수양에 역점을 두고 있었다. 성리학을 대성시킨 것은 남송의 주희, 북송의 주돈이(주염계), 장재(장횡거), 정호(정명도), 정이(정이천).. 2023. 12. 31.
제 2장 중국사상의 흐름과 고전(3) 전한말~북송중기: 경학과 종교사상 경전연구 활성화 제2기의 시작을 이루는 유가일존의 사상은 왕망의 새로운 유교존숭 정책에 따라 더욱 강화되었다. 후한도 유교존숭 방침으로 이어져 유교가 국가지도 이념으로 공인되었고, 유교를 국책으로 하는 상황이 이후 청나라 말 기의 제3기가 끝날 때까지 거의 2000년 동안 계속되었다. 이처럼 유가사상이 권위를 갖게 되자 유교경전의 권위가 높아지고, 경전의 연구 주석이 활발히 이루어져 제2기 동안에 각 경전에 대한 주석서가 수없이 만들어졌다. 경전도 5경五經(詩 · 書 · 易 · 禮 · 春 )에서 점차 수가 늘어나 13경이 되었다. 한편 경전의 원본 및 해석의 정리 통일을 꾀하려는 움직임도 있어서 당나라 초에 『오경정의가 만들어진 것을 비롯하여, 그것을 확대시켜 제2기가 .. 2023. 12. 30.
제 2장 중국사상의 흐름과 고전(2) 태고~전한말기(BC 1세기 말) 중국사상의 성립 제1기는 중국사상의 성립기로, 은殷나라 때인 BC 15세기 무렵 이후이다. 은나라 때에는 제 帝(上帝라고도 함)로 불리는 하늘의 신을 최고 신으로 삼고, 각 씨족의 조상신, 산 · 강 · 초목 등 기타 여러 신들을 숭상하여, 이러한 여러 신들에게 제사를 올리고 행운을 기원하며 또 중요한 행사는 점을 쳐서 신의를 확인하고 난 뒤 실행에 옮겼다.. 주周나라 때에도 은나라 때의 상제신앙을 이어받아, 하늘을 신앙하였다. 그래서 주나라 초기에 주공이 제정했다고 전해지는 '주례는 하늘과 그 밖의 여러 신을 모시는 종교의식임과 동시에 천하통치를 위한 정치형태이자 동시에 신분제도를 규정하는 예제이기도 하였다. 제자백가 사상 중국사상은 춘추시대 후기부터 전국시대에 걸친 시.. 2023. 12. 30.
제 2장 중국사상의 흐름과 고전 중국사상의 원류 중국사상의 원류로는 공자로 대표되는 '유가 사상', 노자와 장자로 대표되는 '도가사상'을 들 수 있으며, 여기에 인도에서 전래된 불교사상까지를 포함하여 동양사상의 원류로 간주한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계속적인 영향력을 미쳤던 중국사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현실주의적 경향 중국인의 사상은 현실생활에 밀착되어 있다. 추상적 · 이론적 사색에 잠기지 않고 현세와 떨어진 피안彼岸 또는 형이상학적 세계 등을 추구하는 일보다는, 현실을 어떻게 사느냐, 어떻게 하면 좋은가를 생각하는 데에 큰 관심을 기울여왔다. 조화적 경향 상대 개념의 사고형식이 현저하다는 것이다. 이는 모든 사물을 상대되는 두 요소로 나누어 파악하는 사고방법으로서 가장 전형적인 것은 음양사상인데, 그저 단순하게 모순 .. 2023.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