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이해하기40

인간의 이해(5) 1장 인간이란 무엇인가? 03. 인간의 충동적 · 이기적 본성(3-1. 동물적 존재로서의 인간) 인간이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본성을 갖는 존재라는 주장은 역사적으로 매우 뿌리가 깊고, 특히나 동물적 존재와 차별되는 인간 고유의 존엄성과 품위를 근거 짓는 사상적 기초가 되어 왔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대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그러한 주장들은 앞에서 살펴보았다시피 대부분 형이상학 내지 종교적인 관 점에 기초하고 있는 까닭에 근세 자연과학의 발달 이후 과학적 실증주의 의식이 증대된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그 설득력이 급속하게 퇴색하고 있다. 특히 인간 존재를 단지 여타 동물과 같은 진화 과정상의 동물적 존재로 위상지은 다윈(C. Darwin)의 진화론이 등장하면서부터 고전적인 관점들은 더더욱 의심스러운 것이 되어 .. 2023. 9. 27.
인간의 이해(4) 1장 인간이란 무엇인가? 02. 인간의 합리적 · 사회적 본성(2-4. 마르크스주의) 공리주의가 주장한 인간의 합리적 · 사회적 특성을 자유주의 사상이라는 범주 속에서 오늘날의 자본주의가 갖는 개인주의적 특성과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타파를 주장하고 나선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의 합리적 · 사회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물론 근세 사회주의 사상의 선구인 마르크스(K. Marx)는 인간성이란 사회 관계의 변화와 맞물려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사회 관계와 무관한 어떤 고정적인 또는 선천적인 인간의 본성 같은 것을 명시적으로 주장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마르크스는 최초의 원시적인 사회 관계에서 그리고 종국적으로 도래할 이상적 사.. 2023. 9. 26.
인간의 이해(3) 1장 인간이란 무엇인가? 02. 인간의 합리적 · 사회적 본성(2-2. 근세 이성주의)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전 고대의 이성주의적 인간관은 서양의 경우 16세기 르 네상스를 거쳐 당시의 인문주의 · 종교 개혁 · 자연과학의 기초를 제공하였고, 나아가서 계몽주의 사조와 근세 이성주의 또는 합리주의 전통에 뿌리가 되었다. 물론 이성적 존재로서 근세의 인간 개념은 고대 그리스적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지는 않았다. 즉 고대 그리스 사상에 따르 면 인간 이성은 인간의 본질인 동시에 우주의 본질로서 세계 이성과 동질적인 것 이다. 그러나 근세에 이르면 인간의 주체 적 자아 개념이 등장하고 자연과 인간, 주객의 분리가 진행됨으로써 그리스적 이성은 곧 인간 자아의 주체적 이성으로 치환 된다. 근세 이성주의 (rationa.. 2023. 9. 26.
인간의 이해(2) 1장 인간이란 무엇인가? 02. 인간의 합리적 · 사회적 본성(2-1. 고전 고대 사상) 인간에 대한 견해들은 시대나 장소 그리고 입장에 따라 천차만별일 수 있지만, 우리가 가장 많이 들어 온 인간에 대한 일반적이고도 고전적인 명제를 꼽으라면 다름 아닌 '인간은 이성적 동물'이라는 말일 것이다. 이 말은 이른바 전통 적인 인간관 즉 합리적 · 이성적 인간관을 단적으로 대변해 왔다. 합리적 · 이성적 인간관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따르면 인간은 본성적으로 충동적이기보다는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존재이다. 인간은 이성에 따라 사는 삶이 행복하고 선한 삶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또 그렇게 살 수 있는 능력도 갖추고 있다. 인간이 사회 생활은 물론 도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것도 다 그런 까닭이다. 동서양을 막론.. 2023.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