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및 통일신라 시대
불교의 전래
한국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4세기경으로, 삼국이 고대국가로서 한창 발전하고 있던 때였다. 당시 사회는 이미 씨족공동체의 폐쇄성에서 벗어나 초부족적인 상태로 변해, 씨족사회의 무속신앙이나 조상숭배사상만으로 새로운 고대 국가의 사회생활을 이끌어 나갈 수 없었다. 따라서 불교라는 고등 종교가 전래됨으로써 인간사회의 갈등이나 모순을 한 단계 높은 수준에서 이해하게 하여 고대국가의 정신적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한편 불교의 전래는 종교로서의 교리나 의식만이 아닌, 음악 · 미술 · 건축 · 의학 등의 문화의 전파까지 수반하는 것으로, 중국뿐 아니라 인도나 중앙아시아의 문화도 소개함으로써, 한국의 고대 문화를 성립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불교가 삼국에서 공인된 것은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 백제 침류왕 1년(384), 신라 법흥왕 14년(527)이다.
고구려에서 초기에 받아들인 불교, 중국에서 노장사상으로 불교를 이해하려 했던 격의불교'였다. 예를 들면 불교의 공空을 노장사상의 무로 해석하려 했다. 그 뒤 문자왕 때에 이르러 불교 교학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데 중관계의 '삼론 종’이 주류를 이루었다. 영류왕 때 일본에 간 혜관慧灌은 일본 삼론종의 시조가 되었다. 백제는 중국 남조의 불교를 받아들였는데, 주로 ‘율종律宗'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백제의 겸익은 성왕 때 인도에 직접 가 소승불교의 계율 관계의 경전을 가지고 와, 그중 율부를 번역해 백제 율종의 시조가 되었다. 백제에서는 이외에 열반종 · 삼론종 · 성실종 등의 연구도 활발했다. 신라는 불교가 전래되기 전까지 문화수준이 가장 낮고, 고대국가의 성장도 늦었지만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고대국가의 체계를 정비하고 왕권강화를 추진하였다. 따라서 불교는 왕실과 밀착되어 상호이용의 관계를 가지고 국가적 후원 속에 확장되었다. 신라의 초기불교는 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다. 고구려의 승려 혜량은 진평왕 때 망명하여 최초의 국통이 되었다. 그 뒤 원광은 중국에 유학해 불교를 널리 섭렵하고 돌아와서 세속오계를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유학 이해는 조예가 깊어 세속오계 속에 반영되고 있다. 이는 당시 삼국통일을 앞두고 신라사회가 요청하던 사 회적 질서 · 윤리를 불교의 권위를 빌어 제시한 것이다. 그다음 자장은 대국통으로서 신라불교의 제도적 발전과 국가의 사상적 통일에 기여했다.
통일신라
삼국통일을 전후해 신라불교는 비약적 발전을 이루어, 경전을 수입하고 교설을 소개하는데 그친 이전의 단계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독자적인 교학 발전단계로 들어갔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우선 신라는 삼국통일의 주체로서 그것을 실현한 후보다 넓은 세계관을 수립하게 되었으며, 또한 삼국통일을 통해 고구려와 백제의 높은 교학 수준을 널리 섭취할 수 있었다는 점 등이 있다.
다음 글 읽기
'동서고전 > ① 동 · 서양사상의 흐름과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3장 한국사상의 흐름과 고전(4) (0) | 2024.01.01 |
---|---|
제 3장 한국사상의 흐름과 고전(3) (0) | 2024.01.01 |
제 3장 한국사상의 흐름과 고전 (0) | 2023.12.31 |
제 2장 중국사상의 흐름과 고전(5) (1) | 2023.12.31 |
제 2장 중국사상의 흐름과 고전(4) (2) | 2023.12.31 |